[현장잇슈] 양심 손님에 웃었던 무인점포‥'10대 절도범'에 결국 폐업 "이게 현실"<br /><br />이곳은 서울 도심의 한 번화가입니다.<br /><br />제 뒤로 보이는 곳은 불과 석 달 전만 해도 양심 손님으로 미담이 전해졌던 한 무인점포 가게였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폐업 결정이 나면서 간판은 사라졌고, 내부는 텅 비어있게 됐습니다.<br /><br />가게 주인이 영업 일 년 만에 문을 닫게 된 게 어찌 된 사연인지 한번 들어봤습니다.<br /><br /> "남 일이라고만 생각했거든요. 대낮이었어요. 가게 정리하려고 갔는데 키오스크 문이 덜컹덜컹하더라고요. 애들이 와서 한 시간에 걸쳐서 한 명이 드라이버로 뜯어서 현금 가져갔고, 나머지 두 명은 주위를 살피면서 망을 봤어요. 전혀 생각하지 못했어요. (그 이후로) 사람을 못 믿게 되니까, 잠깐 가방 만지는 건데도 '어? 가방에 넣지 않을까?' 의심이 든다든가…더 이상 운영을 하기가 어렵겠다."<br /><br />이곳은 해당 업주가 운영하던 또 다른 무인점포인데요.<br /><br />절도 피해를 입었던 가게는 이곳처럼 가게 내, 외부를 비추는 CCTV가 8대나 있었고요.<br /><br />심지어 결제기기 부근에 동작 감지 센서가 있어서 업주에게 알람이 가는 기능이 있었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더 당황스러운 건, 절도 피해 신고 이후였습니다.<br /><br />절도범들은 약 일주일 남짓 만에 붙잡혔지만, 현금 80만 원을 비롯해 추정 피해 금액이 약 2백여만 원에 달했는데, 업주에게 돌아온 건 단 3만 4천 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 "어떻게 된 건지 전혀 소식이 없어서 직접 (법원에) 전화를 한 거죠. 이 사건은 소년부 사건이라 배상명령 신청할 수가 없다. '그럼 내용이라도 알려달라' 했더니 '알려줄 수 없다' 이렇게 된 거죠. 3만 4천 원 애들이 (쓰고) 남았다고 해서 (검찰 측에서 송금해 줬어요.)"<br /><br /> "소년 보호사건은 비공개가 원칙이라서 재판 결과를 피해자라고 해도 알 수가 없습니다. 보상받기가 좀 어렵죠. (미성년자는) 책임능력이 인정 안 되기 때문에 미성년자 법정 보호자 상대로 소송 제기해야 하는데요, 문서 송부 촉탁 이란 걸 통해 (이름 등을) 받을 수 있지만 보호자 인적 사항을 확인할 수가 없어요."<br /><br /> "아침에 일어나서 가봤더니 난장판이 돼 있던 거죠. 벽돌을 들고 들어와서 막 부수더라고요. 저희 가게만 한 게 아니라 다른 가게도 하고, 건수가 좀 많았나 봐요. (경찰한테) 촉법 소년이라 처벌은 안 되는 거냐 했더니 일단 그럴 것 같다고 하더라고요. SNS에서 자물쇠 따는 게 유행이래요. 영상이 돌아다닌대요."<br /><br />실제로 이같은 무인점포 절도 발생 건수는 지난해 6천여 건이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하반기에 붙잡힌 절도범 약 1천 9백여 명 가운데 4분의 1, 25%가 미성년자였습니다.<br /><br />10대들이 주로 이 무인점포를 표적 삼아 범행을 저지르는 이유는 뭘까요?<br /><br /> "청소년들 같은 경우에는 (주로) 현금 거래를 하다 보니까 무인점포 결제기기에 돈이 있다는 걸 알게 되죠. 성취감, 동료 간의 공범 의식을 통해 가담하게 되고요. 지문이나 이런 게 아직 등록이 안 됐기 때문에, 수사하기가 곤란하죠. 본인들이 그런 것도 더 잘 알아요."<br /><br />이렇게 무인점포가 절도범들의 손쉬운 먹잇감이 되면서 범죄 심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양심 거울을 설치해두기도 합니다.<br /><br /> "업주분들 반응이 양심 거울 붙이고 나서 청소년들의 소액 절도가 많이 줄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거든요."<br /><br />일부 대형 편의점의 경우엔 보안성을 위해 최첨단 기술들을 (실증) 도입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매장 입구에서 키오스크를 통해 QR코드를 제공 받은 뒤에 이렇게 찍고 들어가야 합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물건을 사고 나올 때는 사전에 등록된 카드로 결제가 되는데요. 제가 주머니에 숨겨놓고 나온 천 원짜리 초코바가 곧바로 결제됐습니다.<br /><br />제가 천 원짜리 초코바를 주머니에 숨겨 놓고 나왔어도 걸릴 수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이 안에 있습니다.<br /><br />물건을 집으면 제일 먼저 선반 센서가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요, 천장을 보면 수많은 카메라들이 상품과 고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게 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소자본으로 창업한 무인점포 업주들에게 첨단 기술 도입은 쉽지 않은 얘기죠.<br /><br />그래서 정부와 주요 플랫폼 기업들이 협업해 이런 골목 무인점포 대상으로 '출입 인증 시스템'이란걸 개발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마치 코로나 시기 방역 패스를 떠올리시면 되는데, 이렇게 출입인증 큐알코드를 받아서 찍고 입장하는 방식입니다.<br /><br />도입 전후 범죄 예방 효과 분석을 위해 영등포구 내 무인점포들을 대상으로 이번 주부터 신청을 받고요, 약 170여곳을 추려서 무상으로 설치 운영될 예정이라고 합니다.<br /><br /> "자신의 개인 인증 정보가 상대방에게 전달이 됐다라는 부분은 범죄 예방 효과가 높을 걸로 예측하고 있습니다. 얼마만큼의 효과가 있는지를 한번 검토하고, 소상공인분들에게 좀 더 확산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."<br /><br />다만 인증 절차가 까다로워질수록 매출 하락으로 직결될까 우려가 큰 것도 사실이죠.<br /><br />편리함을 위한 기술은 발전하고 있지만, 우리의 의도와 달리 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무인점포인데 업주가 24시간 감시를 해야 한다는 역설적인 상황 속에,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보안 가이드라인이나 검거된 사례를 통한 청소년 교육 등 보다 현실적인 예방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-기획: 김가희<br />-취재: 이채연<br />-영상 취재: 함동규<br />-편집: 고현지<br /><br />#무인점포 #절도 #10대범죄 #범죄예방 #키오스크 #경찰 #양심손님 #양심거울 #출입인증시스템<br /><br />(끝)<br /><br />